UPDATED. 2024-03-19 14:39 (화)

가상화폐의 원조는 비트코인이 아니고 은행이었다.
상태바
가상화폐의 원조는 비트코인이 아니고 은행이었다.
  • 블록체인투데이
  • 승인 2019.11.06 17: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 시진핑 주석이 ‘블록체인을 육성하겠다’는 말 한마디에 비트코인이 30% 이상 올랐다. 중국은 지금 디지털세상으로 날아가고 있다. 미국은 페이스북의 리브라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명실상부한 G2가 무역전쟁에서 디지털화폐 전쟁의 시작을 알리고 있는 중차대한 시기에 암호화폐와 가상화폐 말만 나오면 알러지 반응을 보이는 이 나라의 높으신 분들에게 가상화폐의 원조를 알리고 싶다. 
 
은행은 유럽의 금(金) 세공업자로부터 탄생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17세기 금이 돈을 대신하여 거래되던 시기에 금의 부피와 무게 때문에 휴대하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사람들이 약간의 보관료를 지불하면서 금 세공업자에게 금을 맡겼는데, 이는 금 세공업자가 튼튼한 금고를 가지고 있어 안전한 보관이 가능하고 순도 또한 보증 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사람들이 점차 불편한 금을 직접 주고받는 것보다 금 세공업자가 발행한 보관증을 이용해 상거래를 하게 되면서 맡겨둔 금을 실제로 찾으러 오는 경우가 드물어졌다. 그러자 금 세공업자들은 보관하고 있는 금을 가지고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대출을 시작했고 그에 대한 이자를 받아 돈을 벌기 시작했다.

금 세공업자가 막대한 부를 축적하게 되면서 금을 맡긴 주인들이 금 세공업자가 자신들의 금을 이용해 돈을 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고 항의하자, 금 세공업자는 대출로 발생하는 이익의 일부를 금 주인들에게 나누어 주었는데 이것이 오늘날 예금이자의 개념이 되었다.

금 세공업자들은 맡아둔 금보다 많은 보관증을 발급하며 점점 더 많은 돈을 벌게 되는데, 그것은 금 세공업자들의 경험상 사람들이 금을 맡긴 후 찾아 쓰는 비율은 통상 맡긴 금의 10% 정도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 10%라는 수치는 현재 은행이 사용하고 있는 지급준비율의 기초가 되었다.

은행들이 지급준비금으로 얼마나 남기느냐에 따라서 예금통화의 크기가 결정된다.100만원의 현금이 예금으로 들어올 때 예금 금액의 10%만 현금으로 남겨도 된다면 90만원을 대출해줄 수 있다. 현금을 대출받은 고객이 다른 은행에 90만원을 맡기면 다시 예금을 받은 은행은 10%인 9만원만 남기고 81만원을 대출해줄 수 있다. 

81만원을 예금으로 받은 세 번째 은행은 8.1만원만 남기고 나머지를 다시 대출해줄 수 있다. 이런 과정을 반복해서 거치면 최초의 100만원 현금 예금이 900만원의 대출을 가능하게 해준다. 지급준비율이 20%면 5배의 통화량이 새로 만들어지고 지급준비율이 10%라면 10배의 통화량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니까 전체 통화량의 90%가 신용창조에 의해 부풀어지게 된다.

이것은 숫자로만 거래되는 일명 가상통화 또는 가상화폐인셈이다. 2008년 금융위기에 미국이 양적완화 정책으로 2008년 11월부터 2010년까지 1조7000억 달러(약 1816조원)을 찍어냈다. 그래서 가상거래 된 화폐는 20,000조가 숫자로만 트랜잭션 된 것이다. 여기에 블록체인기술로 암호화된 가상화폐가 암호화폐이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첫째도 AI 둘째도 AI 셋째도 AI이다. 그리고 AI를 완성하기 위한 BIG DATA가 있어야 하고, 여기에 연결시켜 주는 보안기술이 블록체인이다. 
AI + BIG DATA + BLOCKCHAIN 은 트라이앵글을 이루면 서 같이 나가야 할 기술이다. 어느 하나 소홀히 해서는 안 되는 기술들이다. 암호화폐(요즘은 암호자산이라 함)은 블록체인을 활성화시키는 자동차의 기름과 같다. 

IT 강국, 대한민국의 미래가 지금부터 3년 내 판가름 날 것 같다. 중국처럼 정부차원에서 밀어주면 금상첨화이다. 하지만 안된다 할 지라도 실망하지 말자. 길이 없다면 만들어서 나가야 한다. 규제 핑계하면서 징징대지 말고, 말없이 우리의 갈 길을 묵묵히 가야 할 때이다. 

글 블록체인투데이 정주필 발행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