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03-28 17:51 (목)

[칼럼] 집단지분증명(CPOS)과 집단투자증명(CPOI)
상태바
[칼럼] 집단지분증명(CPOS)과 집단투자증명(CPOI)
  • 블록체인투데이
  • 승인 2022.09.21 09:0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블록체인공화국(ROB-RepublicOfBlockchain)⑩
최영규(왼쪽) 크립토밸리랩 파운더, 정희연(오른쪽) 크립토밸리랩 코파운더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양면성
자본주의는 이윤추구를 목적으로 자본이 지배하는 경제체제로서, 인간의 본성에 더 솔직하고 자아실현에 적합한 의미를 지닌다. 자본주의 경제체제는 인류의 경제적 성과 부분에서 사회주의나 공산주의에 비해 그 우월성이 증명되었다.  그리고, 민주주의는 의사결정에 투표를 통해서 구성원의 의사를 반영하고 실현하는 정치사회 체제이다. 투표는 민주주의의 꽃으로서 제대로 된 투표는 민주주의의 작동에 매우 중요하다. 민주주의는 모든 사람을 동등하게 대하는 인권과 개인의 자유를 높이는 데에서 전체주의나 독재 체제에 비해 그 우월성이 증명되었다.  즉,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는 현재까지 인류가 찾아낸 매우 좋은 제도들이다. 

그러나, 이 두 제도에 그늘이 없는 것은 아니다.   자본주의는 자본의 주인(shareholders)에게 수익의 극대화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작동하여 부의 양극화를 가속화시켜왔다.  민주주의 또한 개개인의 역량과 책임의 무게 등에 대한 정성적인 고려 없이 일률적으로 1인 1표이기에, 어떤 결정이 하향 평준화되거나 왜곡될 우려가 있다.

자본주의가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동력이 단지 기업의 이윤 극대화에 투입되고 소득분배를 불공평하게 만드는 것을 완화시키려 노력해 온 것도 사실이다. 대표적인 예로 주주의 차등의결권 제도, 공유경제 개념, 지속성장가능성 지수나 ESG 지수의 적용 등이 도입되면서 보완을 추구해 온 것이다.  민주주의도 간접민주주의, 숙의민주주의 등 여러 제도로 보완되며 진화하고 있다.

인류가 찾아낸 매우 좋은 제도인 이 자본주의와 민주주의의 장점이 잘 융합되면, 의사결정과 투표에서, 특히 블록체인 영역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필자들은 생각해왔다. 진정한 의미의 블록체인 경제는 ‘포용의 경제’를 추구하는 데 있다. 필자들은 포용경제에 적합한 합의알고리즘의 가능성을 이 두 제도의 융합에서 모색해왔다.


◆집단의 힘과 블록체인
우리는 어떠한 사안에 대해, 명석하거나 탁월한 능력을 가진 사람 또는 조직이 그 사안을 정의해주고 결정해주기를 원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효율성과 신속성의 가치가 높을 때는 더욱 그러할 것이다.  군대나 사기업 등이 그러한 예이다.  그러나, 생태계적 특성을 가진 사안들은 이것과 차이가 있다. 생태계에서는 수용성(acceptability), 적응성(adaptability), 강건성(robustness), 회복력(resilience) 등이 더 중요하다. 생태계에는 직선이 아니라 굽이굽이 흐르는 강물과도 같은 속성이 있다. 굽이굽이 흐르는 것이 직선보다 비효율적인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그것은 생태계를 더 잘 보존한다. 

생태계에는 다양성이 존재한다.  집단 지성적으로 그 다양성이 모아질 때에는 더욱 큰 힘이 된다. 여러 겹으로 꼬여진 동아줄이 더욱 튼튼한 것과 같은 이치일 것이다.  이것이 진정한 집단의 힘이다.

블록체인은 기본적으로 탈 중앙화된 집단의 능력을 신뢰의 기반으로 삼는다.  따라서 집단지성이 참으로 중요하게 작동해야 하는 분야가 ‘블록체인으로 이루는 생태계’일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게 돌아가고 있지 않다!
위임의 경우까지 포함하여, 지분 또는 투자(Stake/Investment)증명에 의한 합의알고리즘이나 투표는 엄밀하게 따져볼 때 자본주의의 연속선 상에 있다. 코인지분이나 투자 양을 추적해 가면 ‘자본’의 힘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결국, 자본의 힘으로 의사결정과 정책변경이 가능하여, 자본주의의 목표를 우선적으로 추구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방치할 때, 블록체인은 더욱 효과적인, 그리고 더욱 글로벌 차원으로 광범위한, ‘부익부 빈익빈의 도구’로 전락될 수 있다. 사실, 이 부분이 『블록체인 경제』에 몸담고 있고, 동명 서적의 공저자인 필자들의 고뇌이기도 하다.


◆집단지성적 의사결정 방법 – 집단지분증명(CPOS)©과 집단투자증명(CPOI)©
어떤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어느 주기(period, epoch)에, 위임을 받아 실제 의사결정(투표)에 참여하는 노드의 수를 N이라고 하자. 어떤 위임자 j가 노드 i에 위임하는 지분(투자)의 양을 s(i,j)라고 하자.  그리고, 노드 i에 위임한 위임자들의 수를 n(i)라고 하자. 

이때, 노드 i가 위임을 받은 총 지분(투자)는 다음과 같다:  S(i) = ∑_(j=1)^(n(i))▒〖s(i,j)〗

이 주기에 참여한 총 지분(투자)의 양은 다음과 같다:  V = ∑_(i=1)^N▒〖S(i) 〗

이 주기에 참여한 총 위임자/투표자 수는 다음과 같다:  D = ∑_(i=1)^N▒〖n(i) 〗

따라서, 전체 위임자(투표자)들의 평균 지분(투자) 양은 다음과 같다:  M=V/D

이때, 노드 i의 집단지성적 투표권(Collective Voting Power)©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
P(i) = S(i) + αMn(i), 0<α≤1

여기에서 α는 중요한 시스템 파라미터이다. 투표(위임)에 참여하였다는 이유로, 모든 참여자들에게 1인당 평균의 몇 %를, 기본 기여값으로 균등하게 인정해주는가를 이 α가 결정한다. 여기에서 αM은 집단지성적 투표권을 계산하는 데에만 적용되는 기여값이지 참여자 개인의 자산으로 간주되거나 개인의 보상 산정에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 α 또한 투표로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공식에서 위임자들의 수 n(i)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위임자들은 자신이 지지하는 노드에 위임할 것이기 때문이다. 노드는 같은 S(i), 즉 같은 총투표권을 확보하더라도, 그것이 더 많은 위임자들로부터 모아져야 실질적으로 더 큰 ‘집단지성적 투표권’이 생긴다.

이 공식이 위임지분증명(DPOS, Delegated Proof of Stake)의 경우에 적용되면 CPOS©(Collective POS, 집단지분증명)가 되고, KOK 블록체인의 메인넷인 K STADIUM에서 최초로 도입한 위임투자증명(DPOI, Delegated Proof of Investment)s의 경우에 적용되면 CPOI©(Collective POI, 집단투자증명)가 된다. 

위 공식의 뒤 항목, αMn(i)를 필자들은 “집단지성적 투표권 인자”(Collective Voting Power Factor)라 부르고 싶다. 이 인자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투표자들이 손쉽게 열람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노드들에 대한 투명하고 검증 가능하며 위변조가 불가능한 평판 시스템이 있어야 한다. 이 평판 시스템에는 각 노드의 과거 활동, 투표 성향, 소속된 생태계에 대한 철학과 비전, 기술 및 경영 역량 등 여러 사항이 드러나 있어야 한다.   투표자(위임자) 또한 수익성만 추구하지 말고, 자신이 속한 생태계의 중요한 거버넌스에, 집단지성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분별력과 참여의식을 높여야 한다.

집단지성이 잘 작동되어야 하는 다른 경우와 마찬가지로, CPOS/CPOI가 더욱 좋은 의사결정의 방법이 되기 위해서는, 투표(위임)이 숙의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표/위임 과정에서 치열한 토론과 검증의 과정을 거치면서 투표자(위임자)는 자신의 투표/위임을 자유롭게 철회/이동/변경해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을 “숙의적 집단지분증명/집단투자증명”(Deliberative CPOS/CPOI)©이라고 필자들은 정의하고 싶다.

건강한 생태계적 집단에서는, 한 사람의 1천만개 지분보다 1만명으로부터 1천개씩 지지를 받은 1천만개의 지분이 더욱 가치가 있다.   그만큼 더욱 큰 영향력과 책임이 보장되어야 한다.

info@blockchaintoday.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